top of page
image.png
20250331131245_d66b3dba64e547600cab507d69f18697_m4wb.jpg
Flag_of_South_Korea.svg.png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국민의 건강을 지키고 사회복지 서비스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는 일을 합니다. 또한 저출산·고령화 대응, 보건의료 정책, 취약계층 지원 등 다양한 인구복지 정책을 추진합니다.

image.png

1. 제4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2023~2027)

 2023년부터 2027년까지의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계획은 결혼이민자와 그 가족의 안정적인 정착과 자립을 지원하고, 다문화 가족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핵심 내용:

  • 초기 정착 지원: 입국 초기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 통번역 서비스, 사례관리, 24시간 상담 등을 제공합니다. 

  • 장기 정착 지원: 장기 체류 결혼이민자를 위한 가족관계 증진 프로그램, 노년기 준비 교육, 디지털 미디어 소통 능력 향상 교육 등을 실시합니다.

  • 자녀 교육 지원: 다문화 자녀를 위한 기초학습 지원, 진로·직업 교육, 청소년기 진로상담 등을 강화하여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자 합니다.

  • 경제활동 지원: 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참여를 돕기 위해 직업교육훈련, 일자리 연계, 이중언어 능력을 활용한 취업 지원 등을 제공합니다.

  • 가정폭력 예방 및 지원: 다문화 가족 내 가정폭력 예방을 위한 연구와 조사를 추진하고, 피해자 보호 및 자립 지원을 강화합니다.

 

2.자녀 양육 및 교육 지원

다문화 가족 자녀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다음과 같은 지원이 제공됩니다:

  • 기초학습 지원: 취학 전후 아동을 위한 기초학습 지원 기관을 확대하여 학습 격차를 해소합니다.

  • 진로·직업 교육: 청소년기 자녀를 대상으로 진로상담과 직업교육을 강화하여 자립을 지원합니다.

  • 교육 활동비 지원: 초등학생 40만 원, 중학생 50만 원, 고등학생 60만 원의 교육 활동비를 연간 지원합니다

3.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전국에 약 200여 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운영되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한국어 교육: 결혼이민자와 그 가족을 위한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실시합니다.그랜드컬처

  • 가족 교육 및 상담: 가족 구성원의 역할 이해와 가족 문화에 대한 교육, 개인·가족 상담을 제공합니다.

  • 취업 지원: 지역 특성과 결혼이민자의 수요를 고려한 취업 연계 및 교육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이중언어 교육: 다문화 자녀를 위한 언어 발달 지원 사업과 언어 영재 교실을 운영합니다.

4.주요 연락처 및 정보

  • 다누리콜센터: 다문화 가족을 위한 24시간 상담 서비스 (전화번호: 1577-1366)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가까운 센터를 방문하여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 마을

MISSION. 문화자금을 획득하라. 

다문화가족 지원, 자녀 양육 및 교육지원, 저출산 대비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기관은 어디인가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