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HO의 인구 관련 주요 정책
1. 인구 건강 관리(Population Health Management)
WHO는 2023년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인구 건강 관리에 대한 정책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이는 1:1 진료 중심의 의료에서 벗어나, 특정 인구 집단의 건강 상태를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고 맞춤형 개입을 통해 건강 불평등을 줄이려는 접근입니다. 특히 사회적 건강 결정요인(예: 소득, 교육, 주거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문화 사회에서의 건강 형평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2. 성·재생산 건강 및 인권 중심 접근
WHO는 유엔개발계획(UNDP), 유엔인구기금(UNFPA), 유니세프(UNICEF), 세계은행과 함께 인간 재생산 특별 프로그램(HRP)을 운영하며, 전 세계적으로 성·재생산 건강과 권리를 증진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불임 치료 연구, 성 건강 교육 등을 통해 출산율 조절과 여성의 건강권 보장을 목표로 합니다.
3. 사회적 건강 결정요인(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SDOH)
WHO는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들을 강조하며, 빈곤, 교육 수준, 고용 상태, 주거 환경 등이 건강 격차의 주요 원인임을 지적합니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에서의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한 정책 수립을 권장합니다.
WHO는 이주민, 난민, 소수 민족 등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인구 집단의 건강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레바논에서는 WHO의 지원으로 이주민과 난민을 위한 문화적으로 민감한 건강 서비스가 강화되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다문화 사회에서의 건강 형평성을 실현하는 데 기여합니다.

